데이터베이스 구축 - 8
필수암기 363선
191. 삭제문(DELETE FROM~)
● 기본 테이블에 있는 튜플들 중에서 특정 튜플(행)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.
● 일반 형식
DELETE FROM 테이블명 [WHERE 조건]; |
● 모든 레코드를 삭제할 때는 WHERE절을 생략한다.
● 모든 레코드를 삭제하더라도 테이블 구조는 남아 있기 때문에 디스크에서 테이블을 완전히 제거하는 DROP과는 다르다.
192. 갱신문(UPDATE~ SET~)
● 기본 테이블에 있는 튜플들 중에서 특정 튜플의 내용을 변경할 때 사용한다.
● 일반 형식
UPDATE 테이블명 SET 속성명 = 데이터 [, 속성명 = 데이터, ...] [WHERE 조건]; |
● 모든 레코드를 삭제할 때는 WHERE절을 생략한다.
193. 기본 검색 및 조건 지정
SELECT [DISTINCT] [테이블명.]속성명1, [테이블명.]속성명2, ... FROM 테이블명[, 테이블명, ...] [WHERE 조건]; |
● DISTINCT : 중복된 튜플이 있으면 그중 첫 번째 한 개만 검색함
● WHERE 절에는 검색할 조건을 기술한다.
● LIKE : 대표 문자를 이용해 지정된 속성의 값이 문자 패턴과 일치하는 튜플만 검색함
● 대표 문자: * 또는 % = 모든 문자를 대표
● NULL 값의 사용
- 주소가 NULL인, 즉 주소가 입력되지 않은 자료만 검색
예) WHERE 주소 IS NULL
- 주소가 NULL이 아닌, 즉 주소가 입력된 자료만 검색
예) WHERE 주소 IS NOT NULL
● BETWEEN 연산자의 사용
- 생일이 '01/09/69'dptj '10/22/73' 사이인 자료만 검색
예) WHERE 생일 BETWEEN #01/09/69# AND #10/22/73#
194. 정렬 검색
● 특정 속성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검색할 때 사용한다.
SELECT [테이블명.]속성명1, [테이블명.]속성명2, ... FROM 테이블명[, 테이블명, ...] [WHERE 조건] [ORDER BY 속성명 [ASC | DESC]]; |
● 속성명 : 정렬의 기준이 되는 속성명을 기술함
● [ASC | DESC] : 정렬 방식으로서 'ASC'는 오름차순, 'DESC'는 내림차순이며, 생략하면 오름차순으로 지정됨
195. 하위 질의
● 조건절에 주어진 질의를 먼저 수행하여 그 검색 결과를 조건절의 피연산자로 사용한다.
예) '취미'가 '나이트 댄스'인 사원의 '이름'과 '주소'를 검색하시오.
SELET 이름, 주소 FROM 사원 WHERE 이름 = (SELECT 이름 FROM 여가활동 WHERE 취미 = '나이트 댄스'); |
196. 그룹 지정
● 특정 속성을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검색할 때 그룹화할 속성을 지정한다.
SELECT [테이블명.]속성명1, [테이블명.]속성명2, ... FROM 테이블명[, 테이블명, ...] [WHERE 조건] [GROUP BY 속성명, 속성명, ...] [HAVING 조건]; |
● GROUP BY절
- 특정 속성을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검색할 때 사용함
- 일반적으로 GROUP BY절은 그룹 함수와 함께 사용됨
● HAVING절
- GROUP BY와 함께 사용되며, 그룹에 대한 조건을 지정함
● 그룹 함수
- GROUP BY절에 지정된 그룹별로 속성의 값을 집계할 때 사용하는 함수
- 종류 : COUNT, SUM, AVG, MAX 등
197. 집합 연산자의 종류(통합 질의의 종류)
집합 연산자 | 설명 | 집합 종류 |
UNION | * 두 SELET문의 조회 결과를 통합하여 모두 출력함 * 중복된 행은 한 번만 출력함 |
합집합 |
UNION ALL | * 두 SELECT문의 조회 결과를 통합하여 모두 출력함 * 중복된 행도 그대로 출력함 |
합집합 |
INTERSECT | * 두 SELECT문의 조회 결과 중 공통된 행만 출력함 | 교집합 |
EXCEPT | * 첫 번째 SELECT문의 조회 결과에서 두 번째 SELECT문의 조회 결과를 제외한 행을 출력함 | 차집합 |
198. INNER JOIN
SELECT [테이블명.]속성명1, [테이블명.]속성명2, ... FROM 테이블명1, 테이블명2, ... WHERE 테이블명1.속성명 = 테이블명2.속성명; |
예) <학생> 테이블과 <학과> 테이블에서 '학과코드' 값이 같은 튜플을 JOIN 하여 '학번', '이름', '학과코드', '학과명'을 출력하는 SQL문을 작성하시오.
SELECT 학번, 이름, 학생.학과코드, 학과명 FROM 학생, 학과 WHERE 학생.학과코드 = 학과.학과코드; |
199. 트리거(Trigger)
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삽입(Insert), 갱신(Update), 삭제(Delete) 등의 이벤트(Event)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이다.
'정보처리기사 >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 정보 처리 기사 필기 요약(22) (0) | 2024.07.10 |
---|---|
2024 정보 처리 기사 필기 요약(21) (0) | 2024.07.10 |
2024 정보 처리 기사 필기 요약(19) (0) | 2024.07.10 |
2024 정보 처리 기사 필기 요약(18) (0) | 2024.07.09 |
2024 정보 처리 기사 필기 요약(17) (0) | 2024.07.08 |